탐페레-피르칼라 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탐페레-피르칼라 공항은 핀란드 탐페레에서 6km 떨어진 하르맬라 지역에 위치한 공항이다. 1936년 개항하여 헬싱키, 바사, 오울루, 케미 노선을 운항했으며, 1979년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라이언에어, 에어 발틱, 핀에어 등이 취항했으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여객 수가 감소했으나 2022년부터 다시 증가 추세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탐페레-피르칼라 공항 | |
---|---|
지도 및 사진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탐페레-피르칼라 공항 |
현지 이름 (핀란드어) | Tampere-Pirkkalan lentoasema |
현지 이름 (스웨덴어) | Tammerfors-Birkala flygplats |
IATA 코드 | TMP |
ICAO 코드 | EFTP |
공항 종류 | 공공/군용 |
운영 주체 | 피나비아 |
도시 | 탐페레, 피르칼라, 핀란드 |
허브 공항 | 에어발틱 |
고도 | 119m (390 피트) |
웹사이트 | finavia.fi |
활주로 | |
활주로 번호 | 06/24 |
활주로 길이 | 2,700m (8,858 피트) |
활주로 표면 | 아스팔트 콘크리트 |
통계 | |
통계 년도 | 2022 |
승객 수 | 168,328 |
착륙 횟수 | 1,383 |
2. 역사
2. 1. 설립 초기 (1936년 ~ 1979년)
1936년 탐페레 시내에서 6km 떨어진 하르맬라 지역에 공항이 설립되었다. 헬싱키, 바사, 오울루, 케미 노선을 아에로 O/Y(현재 핀에어)가 운항했다. 1941년 첫 번째 터미널 건물이 건설되었다. 1950년대 카르후매키 항공이 스톡홀름행 노선을 운항했다. 1958년 활주로가 포장되었다. 1979년까지 하르맬라 공항은 총 150만 명의 승객을 수송했다.2. 2. 탐페레-피르칼라 공항 개항 및 확장 (1979년 ~ 현재)
1936년 탐페레 시내에서 6km 떨어진 하르맬라 지역에 탐페레 공항이 설립되어 헬싱키, 바사, 오울루, 케미 노선이 아에로 O/Y에 의해 연결되었다. 1941년 첫 번째 터미널 건물이 건설되었고, 1950년대에 카르후매키 항공이 스톡홀름행 운항을 시작했다. 1958년 활주로가 포장되었으며, 1979년까지 하르맬라 공항은 150만 명의 승객을 수송했다. 1979년 하르맬라 공항이 폐쇄되고, 현재 위치에 탐페레-피르칼라 공항이 개항했다.1996년 현재의 터미널 1 건물이 완공되었다. 2003년 4월 라이언에어가 탐페레-피르칼라 공항에 취항하면서, 스톡홀름-스카브스타, 런던-스탠스테드, 프랑크푸르트-한, 리가 노선이 개설되었다. 이로 인해 공항은 핀란드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공항 중 하나가 되었으며,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연간 승객 수가 256,380명에서 709,356명으로 증가했다. 2011년, 라이언에어는 탐페레-피르칼라 공항에서 13개의 노선을 운항했다. 2010년과 2011년 여름에는 Wizz Air가 그단스크로 운항했다. airBaltic는 2017년 3월에 리가행 노선을 재개했다.
2014-2015년에 저가 항공 터미널 2가 리모델링되었다. 그러나 2015년 4월, 라이언에어는 항공기 부족으로 2015-16년 겨울 시즌에 탐페레에서 모든 노선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후 2016년 봄에 브레멘과 부다페스트 노선만 재개되었다. 2023년 말, 라이언에어는 20년간의 운항을 마치고 런던-스탠스테드 노선을 중단했다.
2021년 12월 14일, 에어 발틱은 발트해 국가 외 최초의 보조 허브를 2022년 5월 탐페레 공항에 설립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23년 3월, 핀에어는 낮은 수요와 짧은 거리를 이유로 탐페레와 헬싱키 공항 간 운항을 중단하고 버스 서비스로 대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
2. 3. 2010년대 이후 발전
2011년, 라이언에어는 탐페레-피르칼라 공항에서 13개 노선을 운항했다.[1] Wizz Air는 2010년과 2011년 여름에 그단스크로 운항했다.[1] airBaltic는 2017년 3월에 리가행 노선을 재개했다.[1]저가 항공 터미널 2는 2014-2015년에 리모델링되었다. 그러나 2015년 4월, 라이언에어는 항공기 부족으로 인해 2015-16년 겨울 시즌에 탐페레에서 모든 노선을 중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 이후 2016년 봄에 브레멘과 부다페스트 노선만 재개되었다. 2023년 말, 라이언에어는 20년간의 운항을 마치고 런던-스탠스테드 노선을 중단했다.[1]
2021년 12월 14일, 에어 발틱은 발트해 국가 외 최초의 보조 허브를 2022년 5월 탐페레 공항에 설립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23년 3월, 핀에어는 낮은 수요와 짧은 거리로 인해 탐페레와 헬싱키 공항 간 운항을 중단하고 버스 서비스를 대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
3. 항공사 및 취항지
에게안 항공은 '''계절편:''' 하니아 (2025년 5월 16일 재개) 노선을 운항한다.[3]
에어 발틱은 말라가[2], 리가[2], 암스테르담, 코펜하겐 노선을 운항하며, '''계절편'''으로는 그란 카나리아[5], 키틸래[6][7], 로도스[2], 팔마 데 마요르카, 테네리페 수르 노선을 운항한다. 에어 발틱은 탈린행 노선을 2025년 3월 29일에 종료할 예정이다.[4]
3. 1. 정기편
에게안 항공은 2025년 5월 16일부터 하니아행 계절편 운항을 재개할 예정이다.[3] 에어 발틱은 말라가[2], 리가[2], 암스테르담, 코펜하겐행 노선을 운항하며, 계절편으로는 그란 카나리아[5], 키틸래[6][7], 로도스[2], 팔마 데 마요르카, 테네리페 수르행 노선을 운항한다.3. 2. 과거 취항 항공사 및 노선
라이언에어는 런던-스탠스테드 노선을 2023년에 중단했다.[2] 위즈에어는 그단스크 노선을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운항했다.[2] 핀에어는 헬싱키 노선을 2023년에 중단하고 버스 서비스로 대체했다.[2] 에어발틱은 탈린 노선을 2025년 3월 29일에 종료할 예정이다.[4]4. 통계
wikitext
연도 | 국내 여객 | 변동 | 국제 여객 | 변동 | 총 여객 | 변동 |
---|---|---|---|---|---|---|
1998 | 113,170 | 81,549 | 194,719 | |||
1999 | 119,283 | 5.4% | 103,746 | 27.2% | 223,029 | 14.5% |
2000 | 140,817 | 18.1% | 115,561 | 11.4% | 256,378 | 15.0% |
2001 | 135,175 | −4.0% | 130,875 | 13.3% | 266,050 | 3.8% |
2002 | 109,747 | −18.8% | 126,525 | −3.3% | 236,272 | −11.2% |
2003 | 105,543 | −3.8% | 198,482 | 56.9% | 304,025 | 28.7% |
2004 | 128,250 | 21.5% | 367,642 | 85.2% | 495,892 | 63.1% |
2005 | 114,669 | −10.6% | 482,433 | 31.2% | 597,102 | 20.4% |
2006 | 119,432 | 4.2% | 512,578 | 6.2% | 632,010 | 5.8% |
2007 | 113,713 | −4.8% | 573,998 | 12.0% | 687,711 | 8.8% |
2008 | 107,954 | −5.1% | 601,402 | 4.8% | 709,356 | 3.1% |
2009 | 85,372 | −20.9% | 542,733 | −9.8% | 628,105 | −11.5% |
2010 | 91,312 | 7.0% | 526,085 | −3.1% | 617,397 | −1.7% |
2011 | 96,625 | 5.8% | 561,005 | 6.6% | 657,630 | 6.5% |
2012 | 85,738 | −11.3% | 485,001 | −13.5% | 570,739 | −13.2% |
2013 | 88,268 | 3.0% | 378,403 | −22.0% | 466,671 | −18.2% |
2014 | 93,313 | 5.7% | 319,296 | −15.6% | 412,609 | −11.6% |
2015 | 89,938 | −3.6% | 267,144 | −16.3% | 357,082 | −13.5% |
2016 | 86,278 | −4.1% | 122,652 | −54.1% | 208,930 | −41.5% |
2017 | 85,844 | −0.5% | 144,180 | 17.6% | 230,024 | 10.1% |
2018 | 81,705 | −4.8% | 146,391 | 1.5% | 228,096 | −0.8% |
2019 | 87,006 | 6.5% | 135,384 | −7.5% | 222,390 | −2.5% |
2020 | 16,736 | −80.8% | 19,214 | −85.8% | 35,950 | −83.8% |
2021 | 412 | −97.5% | 7,979 | −58.5% | 8,391 | −76.7% |
2022 | 8,527 | 1,969.7% | 159,801 | 1,902.8% | 168,328 | 1,906.1% |
2023 | 661 | -76.7% | 213,038 | 33.3% | 213,699 | 27.0% |
2020년과 2021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으로 여객 수가 급감했다. 2022년부터 여객 수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4. 1. 연간 여객 통계
연도 | 국내 여객 | 변동 | 국제 여객 | 변동 | 총 여객 | 변동 |
---|---|---|---|---|---|---|
1998 | 113,170 | 81,549 | 194,719 | |||
1999 | 119,283 | 5.4% | 103,746 | 27.2% | 223,029 | 14.5% |
2000 | 140,817 | 18.1% | 115,561 | 11.4% | 256,378 | 15.0% |
2001 | 135,175 | −4.0% | 130,875 | 13.3% | 266,050 | 3.8% |
2002 | 109,747 | −18.8% | 126,525 | −3.3% | 236,272 | −11.2% |
2003 | 105,543 | −3.8% | 198,482 | 56.9% | 304,025 | 28.7% |
2004 | 128,250 | 21.5% | 367,642 | 85.2% | 495,892 | 63.1% |
2005 | 114,669 | −10.6% | 482,433 | 31.2% | 597,102 | 20.4% |
2006 | 119,432 | 4.2% | 512,578 | 6.2% | 632,010 | 5.8% |
2007 | 113,713 | −4.8% | 573,998 | 12.0% | 687,711 | 8.8% |
2008 | 107,954 | −5.1% | 601,402 | 4.8% | 709,356 | 3.1% |
2009 | 85,372 | −20.9% | 542,733 | −9.8% | 628,105 | −11.5% |
2010 | 91,312 | 7.0% | 526,085 | −3.1% | 617,397 | −1.7% |
2011 | 96,625 | 5.8% | 561,005 | 6.6% | 657,630 | 6.5% |
2012 | 85,738 | −11.3% | 485,001 | −13.5% | 570,739 | −13.2% |
2013 | 88,268 | 3.0% | 378,403 | −22.0% | 466,671 | −18.2% |
2014 | 93,313 | 5.7% | 319,296 | −15.6% | 412,609 | −11.6% |
2015 | 89,938 | −3.6% | 267,144 | −16.3% | 357,082 | −13.5% |
2016 | 86,278 | −4.1% | 122,652 | −54.1% | 208,930 | −41.5% |
2017 | 85,844 | −0.5% | 144,180 | 17.6% | 230,024 | 10.1% |
2018 | 81,705 | −4.8% | 146,391 | 1.5% | 228,096 | −0.8% |
2019 | 87,006 | 6.5% | 135,384 | −7.5% | 222,390 | −2.5% |
2020 | 16,736 | −80.8% | 19,214 | −85.8% | 35,950 | −83.8% |
2021 | 412 | −97.5% | 7,979 | −58.5% | 8,391 | −76.7% |
2022 | 8,527 | 1,969.7% | 159,801 | 1,902.8% | 168,328 | 1,906.1% |
2023 | 661 | -76.7% | 213,038 | 33.3% | 213,699 | 27.0% |
2020년과 2021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으로 여객 수가 급감했다. 2022년부터 여객 수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5. 지상 교통
탐페레-피르칼라 공항은 103번 버스 노선을 통해 탐페레 시내 중심가와 연결되며, 이 버스는 하루에 몇 차례 비행기 착륙 직후에 운행한다. 탐페레 기차역과 탐페레 버스 터미널까지 약 25분이 소요된다. 34번 버스 노선은 러시아워 동안 시간당 한 번 피르칼라 중심부로 운행한다. 피르칼라 또는 노키아의 다른 지역으로 가는 몇몇 시내 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
Matkahuolto가 운영하는 탐페레 버스 터미널을 통해 헬싱키 및 기타 도시로 가는 장거리 연결편을 이용할 수 있다.
탐페레-피르칼라 공항의 교통 수단 | |||
---|---|---|---|
교통 수단 | 운영사 | 노선 | 목적지 |
탐페레 지역 교통 당국 | 34 | 피르칼라 | |
버스 | 탐페레 지역 교통 당국 | 103 | 탐페레 기차역 탐페레 버스 터미널 |
5. 1. 버스
탐페레-피르칼라 공항은 103번 버스 노선을 통해 탐페레 시내 중심가와 연결되며, 이 버스는 하루에 몇 차례 비행기 착륙 직후에 운행한다. 탐페레 기차역과 탐페레 버스 터미널까지 약 25분이 소요된다. 34번 버스 노선은 러시아워 동안 시간당 한 번 피르칼라 중심부로 운행한다. 피르칼라 또는 노키아의 다른 지역으로 가는 몇몇 시내 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Matkahuolto가 운영하는 탐페레 버스 터미널을 통해 헬싱키 및 기타 도시로 가는 장거리 연결편을 이용할 수 있다.
탐페레-피르칼라 공항의 교통 수단 | |||
---|---|---|---|
교통 수단 | 운영사 | 노선 | 목적지 |
버스 | 탐페레 지역 교통 당국 | 34 | 피르칼라 |
버스 | 탐페레 지역 교통 당국 | 103 | 탐페레 기차역 탐페레 버스 터미널 |
5. 2. 택시
탐페레-피르칼라 공항에서는 탐페레 시내 및 주변 지역으로 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참조
[1]
뉴스
Short routes: Finnair replaces planes with busses
https://www.aerotele[...]
aerotelegraph.com
2023-04-05
[2]
웹사이트
Direct flights from Tampere
https://visittampere[...]
2024-09-22
[3]
웹사이트
tui.fi
https://www.tui.fi/l[...]
2024-09-22
[4]
웹사이트
aeroroutes.com
https://www.aerorout[...]
[5]
웹사이트
AirBaltic to Base Aircraft in the Canary Islands for Winter
https://airlinergs.c[...]
2023-06-14
[6]
웹사이트
AirBaltic NW24 Network Addition Update – 14AUG24
https://www.aerorout[...]
[7]
웹사이트
Airbaltic 2023 Winter New Routes - 11MAY23
https://www.airbalti[...]
2023-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